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7

부산의 대중가요 노래비 목록 부산 가요의 도시다. 서울 외에 부산만큼 많은 노래를 지닌 도시는 대한민국 안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노래만큼 노래비도 많다. 부산에 있는 노래비를 알아보자. 대중 가요 목록은 아래의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부산 관련 대중 가요 목록 돌아와요 부산항에 노래비 위치 / 해운대 해수욕장. 조선비치호탈에서 동쪽으로 약 160m 앞에 있다. 조용필이 부른 는 초기 버전과 두 번째 버전이 있다. 원래는 박해일의 이며, 이것을 주정한 것이다. 조용필이 부른 의 두 번째 버전을 기념하여 만든 노래비다. 해운대 엘레지 기념비 해운대 해수욕장에 있다. 노래비 바로 곁에 있다. 사십 계단 기념비 직접적인 노래비는 아니지만 이곳에 피난 시절의 피난민의 설움을 담은 가 기록되어 있다. 현인 노래비 / 굳세어라 금순아 현인.. 부산 in 대중매체 2023. 4. 7.
부산 도시철도 승차권 요금 부산의 도시철도 승차권 종류 종이승차권 / 교통카드 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승차권은 종이권과 교통카드가 있다. 종이권은 1회용으로 일반용 청소년용 다자녀가정-어린이용이 있다. 교통카드는 일반용 청소년용 어린이용이 있다. 정기승차권 정기승차권은 횟수에 상관없이 기간으로 정해진다. 정기승차권은 1일권, 7일권, 1개월권이 있다. 단 정기승차권의 경우 동해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등의 경우 사용이 불가하다. 도시철도 운임 운임은 구간에 따라, 증차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교통카드와 종이승차권 교통 카드카드 기준 1구간 성인은 1300원, 청소년은 1.050원, 어린이는 650원이다. 종이승차권은 어린이와 다자녀가정은 700원이며 나머지는 100이 더 비싸다. 2구간은 성인 기준 1500원이며, 종이승차권.. 부산의 길과도로 2023. 4. 7.
부산의 지하철 노선도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지하철) 노선도 부산의 지하철은 이름을 도시철도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이유는 지하도로만 다니지 않고 지상으로 다니기 때문이다. 맞는 소리다. 그럼 서울은 왜 지상으로 다는데 지하철이라고 할까? 이건 단순히 부산만의 명칭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통일이 필요해 보인다. 현재 부산의 도시철도는 4호선까지 개통되어 있다. 세세한 역과 역사는 후에 다르고 오늘은 간략한 개요만을 다룬다. 아래의 이미지는 휴메트로에서 가져왔으면 휴메트로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직접 검색할 수 있다. 휴메트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1호선 주황색 당연히 부산에서 가장 일찍 개통한 지하철이다. 아마 2호선 때까지 지하철로 불렸을 것이다. 신평역에서 노포까지 운행했다. 지금은 다대포에서 노포역까지 운행 중이다. 총길이는 현재 .. 부산의 길과도로 2023. 4. 7.
[부산의 마을산책] 부산진구 가야동 산동네 가야동의 추억 가야동은 처음이다. 물론 가야동을 한 번도 가보지 않았다는 말은 아니다. 사상에 살 때 서면이나 해운대로 가려면 가야를 지나야 한다. 그러니까 차를 타고 가는 것 외에 직접 걸어서 가야동에 가는 건 처음이란 말이다. 가야동에 대한 기억은 생생하다. 이곳이 정확히 어떤 곳인지 살아 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분명한 것은 친한 누님이 이곳에 살아서 가야에 대한 이야기는 들었다. 80년대 말 시골에서 올라온 누님은 친구를 따라 가야의 태화고무에 취직을 했다고 한다. 그렇게 낯선 부산에 정착하게 되었다. 외로웠던 누님은 또 친구를 따라(이번에 공장 친구다) 가야 제일 교회에 다녔다고 한다. 가야교회에 다닌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 집과 가까워 가야 제일교회에 다닌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더 이상 자..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7.
부산의 전통 시장 목록 부산의 전통 또는 재래 시장 전통 시장과 재래 시장은 상설이 아닌 비상로 오일장을 말한다. 하지만 도시화와 인구의 유입에 따른 변화 등으로 오일장은 상설시장으로 전화되었다. 10년 전 오시게 시장이 오일장으로 열리기는 했지만 현재까지 열리는지는 미지수다. 이곳에 소개되는 시장은 기존의 전통 시장과 재래 시장을 포함하여, 부산 내에서 상권을 유지하며 열리고 있는 모든 시장을 포괄하고 있이다. 특별한 구분은 존재하지 않으나 각 시장의 특색을 간략하게 정리하는 수준이다. 이곳에 소개되는 자료는 부산시청에서 제공하는 [부산 전통시장 현황 2023년 1월]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필자의 임의대로 재가공된 것임을 밝힙니다. 파일은 아래에 첨부합니다. 중구 시장 중구의 큰 시장은 자갈치 시장과 국제시장, 충무시장, .. 부산의 전통시장 2023.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