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7

[부산의 자연마을] 연산3동 전리마을 전리(田里) 마을은 부산의 자연 마을로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 3동과 그 주변을 말한다. 도시철도 3호선 배산역에서 내려 황령산 방향으로 올라가면 전리 마을이 나온다. 금련산 중턱에 해당되며 밭이 많이 밭 전(田) 자를 사용하여 전리 마을이라 불렀다. 배산역 3번 출구 배산역은 몇 번 갔다. 집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 최소 하루 6천 걸음을 걸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왕복 4km 정도 되는 거리를 찾아 걸으면서 배산역에도 간 것이다. 아마 세 번은 간 듯하다. 부산에 거주한지 벌써 34년째다. 참 많은 시간이 흘렀다. 90년이 시작하던 해 난 부산에 왔고, 제대 후 다시 부산에 머물면서 기나긴 부산의 인연은 이어졌다. 해운대, 당리동, 영도, 주례동, 하단동 부산에서 가보지 않은 곳이 있기나 할까? 부산의 ..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4.
부산 갈비탕 맛집 소문난 갈비탕 소문난 갈비탕 소문난 갈비탕은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소재의 갈비탕 집입니다. 이 집은 오랜 추억이 있는 집입니다. 거의 20년 전 아는 형과 함께 이 집을 소개받아 찾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몇 년 후에 찾았고, 몇 번을 그렇게 주기적으로 다녔던 집입니다. 예전에는 그리 유명하지 않았지만 요즘이 더 유명해진 느낌입니다. 부산 수영구 망미번영로 35 지번 광안동 1032-28 영업 오전 10:30-오후 9:00 연락처 051-752-0031 메뉴와 가격입니다.(2022년 8월 1일 가격) 갈비탕 12,000원 갈비탕(특) 15,000원 갈비찜(소) 30,000원 갈비찜(중) 40,000원 갈비찜(대) 50,000원 갈비탕집 가면서 발견한 꼬냥이 가족들. 한 달도 채 안 되어 보입니다. 새끼가 무려 네 마.. 부산의 먹거리 2022. 8. 1.
부산 완당 맛집 두보 완당 부산 완당 맛집 두보 완당 두보 완당은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맛집으로 소문난 집입니다. 완당의 원조인 18번 완당보다 리뷰 평점이 훨씬 좋은 집입니다. 집은 작지만 항상 사람들로 붐비는 곳입니다. 하지만 점심시간 외에는 웨이팅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두보 완당 부산 수영구 수영로679번길 26 지번 광안동 1073-8 운영시간 월~토 09:40 ~ 21:00 연락처 051-752-6655 두보완당 가는 법 지하철 수영역 6번이나 8번 출구에서 내려 센텀병원과 남태수 내과의원 사이 골목으로 110m 정도만 올라가면 하얀색 바탕의 검정식 글씨로 [두보완당]이라고 쓰인 간판이 보입니다. 두보완당 쪽에서 수영역 방향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그리 멀지 않으니 걸어서 가기에 딱 좋습니다. 주차할 곳은 없으니 가능.. 부산의 먹거리 2022. 7. 30.
부산 밀면 맛집 황씨네 부산 밀면 맛집 황씨네 황씨네는 수영구 소재의 밀면 전문 식당이다. 저렴한 가격에 비해 높은 질과 맛은 지역 주민들에게 즐거운을 준다. 황씨네 부산 수영구 구락로57번길 24 (지번) 수영동 482-13 영업 매일 10:00 ~ 20:00 051-752-3952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위치한 황씨네를 다녀왔습니다. 처음에 굉장히 유명한 집을 찾아가야 하지만 이 집은 리뷰가 너무 좋아 조작은 아닌지 의심스러워 직접 다녀왔습니다. 결론은 역시 최곱니다. 하지만 2% 부족합니다. 그건 후반부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차로 가실 분은 주소 찍어서 가시면 됩니다. 그런데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으니 참고 바랍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에서 내려 팔도시장을 지나 5분 정도 걸으면 황씨네가 나옵.. 부산의 먹거리 2022. 7. 30.
부산의 음식들 부산의 음식들 부산은 매우 독특한 도시다. 부산이 갖는 환경적 역사적 특징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겨난 문화가 아닌가 생각된다. 오늘은 부산의 다양한 음식에 대하 간략하게 살펴보자. 부산 음식의 특징 어떤 향토사가는 '부산에 부산의 음식이 있나?'라고 물었다. 이것은 부산의 음식이 갖는 불편한 진실 때문이다. 즉 부산의 역사가 갖는 독특성 때문에 부산다운 음식이 과연 존재하기는 하나 싶은 질문인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서 부산은 수백년 전부터 이어온 음식이 아니라 일제강점기를 비롯한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가져온 음식들이 대부분이란 것이다. 보통 부산의 특징을 말할 때, '개방성' '수용성' '다양성'을 거론한다. 부산을 표현하는 매우 적합한 표현이다. 음식도 이러한 부산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밀면.. 부산의 먹거리 2022.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