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7

주례동 주례시장, 롯데캐슬 골드스마트아파트 옛 자리 주례1동 주례시장 골목길 주례1동에 있던 주례시장은 주례동 주민들의 유일한 시장이었다. 철길아래 자리하고 있었던 작은 시장 골목은 수많은 사람들로 붐비던 곳이었다. 주례삼거리 건너 주례럭키아파트 주변이 신시가지였다면 주례1동 새마을금고가 자리하던 주례시장은 구시가지인 셈이었다. 현재는 롯데캐슬 아파트가 들어와 옛 흔적은 찾을 수가 없다. 필자가 2014년에 온골마을에서 나와 주례시장 골목을 지나면서 찍은 사진들을 이곳에 올린다. 방문일 2014년 8월 26일 사진은 철길 위 육교에서 내려오면서 찍은 사진들로 아래로 갈수록 주례사거리 방향으로 내려간다. 주례시장 안에는 우물이 있었고, 우물 곁에 거대한 회화 나무가 있었다. 수령은 약 600년 정도 되었다고 한다. 주례동의 회화나무는 신령해서 당골레들이 와..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26.
주례동 온골행복마을 주례동의 기원 주례동(周禮洞)은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주례동(周禮洞)의 주례(周禮)는 마을 형성 초기 마을 사람들의 공동 조직체인 두레가 발달하여 두레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 한다. 다른 기원설로는 두레가 발달하여 지명을 정할 때 주나라의 주공이 지은 책 [주례(周禮)]를 가져와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주례동 온골마을 주례동은 늪지대였다. 사상구의 사상은 모래 위란 뜻으로 낙동강 하구라 모래가 많아 생겨난 표현이다. 온골마을은 본 주례에 해당할 수 있다. 지형적으로 보면 주례사거리 밑으로는 매립이 되기 전까지는 낙동강 하류에 속한 모래밭 또는 뻘밭이었다. 아직도 주례동의 저지대는 종종 물에 잠긴다. 철길 주변으로 형성된 마을은 주례동의 자연마을들이다. 대부분의 주례사람들은 사상 공단에서 ..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26.
사상구 주례2동 철길마을 디딤돌마을 주례2동 디딤돌 마을, 철길마을 디딤돌 마을은 주례2동 철길마을 말한다. 주례동은 경부선이 지나고 있어서 철길을 주변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판잣집을 짓고 살면서 자리를 잡았다. 이후에 국가땅이라는 이유로 국유지에서 나가라는 통보를 했지만 여론에 부딪혀 철회되기도 했다. 그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디딤돌 마을이란 이름 전에는 희망을 준다는 뜻으로 희망 마을이라 불렀다. 이러다 소망마을이라 부르게 될지도 모르겠다. 방문일 2014년 8월 22일 디딤돌 마을은 철길을 바로 곁에 두고 만들어진 마을이다. 현재 도시철도 2호선 냉정역이 들어서 있다. 길 건너편에 유명한 샘인 냉정샘이 자리하고 있다. 냉정역 4번 또는 6번 출구에서 나오면 이바국 국밥집과 장소24국밥집 사이로 올라가면 오른쪽으로 ..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25.
스타벅스 하단점 스타벅스 하단점 2013년 5월 13일 하단에 스타벅스가 처음 생겼을 때, 다들 좋아했다. 하단에도 스타벅스가 들어오다니. 지금이야 스타벅스가 매우 흔하지만 당시만 해도 번화가가 아닌 이상 스타벅스는 입점하지 않았다. 현재 하단에는 하단점과 중앙점 두 곳이 있다. 장소도 옮겨졌다. 당시 하단점 스타벅스는 하단교차로에서 동아대방향으로 약 100m 정도 지난 지점에 있었다. 이곳에 버스 정류장이 있었다. 부산 정책과 News 2023. 4. 25.
사상구 학장동 학장교차로 (세원사거리) 주변 모습 학장교차로의 지리적 특징과 어원 학장교차로의 옛 이름은 세원사거리였다. 세원이란 지명은 그곳에 신발제조업체인 '세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직도 있는 학장동 교차로의 육교 바로 곁에 있었다. 세원은 1976년 1월 10일 국제양행으로 설립되었고, 1979년 11월 2일 세원으로 개칭한다. 한 때는 정말 잘 나가는 회사였다. 1981년 12월에는 제18회 수출의 날 1000만 불 수출 탑 및 대통령 표창을 수상할 정도였다. 그러다 1993년 5월 9일 중국 칭다오에 공장을 설립하고 1997년 학장동에 있던 공장을 폐쇄하기에 이른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물량이 급속히 줄어든 것도 있지만 신발산업 자체가 노동집약적이라 한국 사정에 맞지 않았던 것이다. 2013년 2월 19일 법인 등기부 등본산 파산으로 신고된.. 부산의 마을풍경 2023. 4. 25.
반응형